인생성공과 행복의 열쇠 삶의 8진법 |
인생성공과 행복의 열쇠 삶의 8진법!!! “가정-경제-봉사-사회-신체-여가-정신-지성”
인생성공과 행복의 열쇠 삶의 8진법, 즉 강력하고도 뚜렷한 평생의 목표가 필요합니다. 일회적인 삶!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30여 년의 자기계발 연구를 통해서 창안한 삶의 8진법을 전하고자 합니다.
인생전체를 바라보는 방법을 일러드리고 생각 없이 그냥 사는 것이 아니고 어떤 생각과 꿈을 가지고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을까? 가정, 경제, 봉사, 사회, 신체, 여가, 정신, 지성적으로 마음속의 분명한 목표를 결심하고 불타오르는 소원을 마음의 눈으로 시각화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사는데 필요한 생생한 꿈과 분명한 비전을 수립하고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믿음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는 생생한 꿈! 훨훨 타오르는 불타는 소원을 이루는 청사진이 바로 삶의 8진법입니다.
첫 번째는 가정 삶의 8진법은 가정, 경제, 봉사, 사회, 신체, 여가, 정신, 지성”이라며 우선 삶의 8진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분명한 목표를 강조했다. 그는 “가정이야말로 가장 소중하고 행복해야할 소단위 공동체이므로, 아버지가 바로 서야 가정이 바로 설 수 있듯이 문화대국!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도 가정이 행복해야 한다.”라며 삶의 8진법 중 첫 번째인 ‘가정’을 설명했다. 그는 “우리 가정이 행복하려면, 먼저 가족 구성원이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고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두 번째 내용은 ‘경제’ 조 원장은 “경제! 재정적인 목표의 중요성을 인정하라” 라고 선창하며 뭐니 뭐니 해도 머니(Money)가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카네기의 묘비에 적힌 "여기 자기보다 훨씬 뛰어난 사람들이 자기를 위해서 맘껏 일하게 만든 사람이 있다."는 글을 지적하며 자신의 강력하고도 뚜렷한 목표! 불타는 소원! 분명한 꿈과 생생한 비전이 믿음을 낳게 된다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PPT 화면을 보며 ‘삶의 8진법’을 설명했다. 삶의 8진법은 “인간미, 도덕성, 예의범절의 토대위에 ‘겸손과 나눔’ ‘사랑과 봉사’에서 출발한다.”고 했다. 그는 삶의 8진법의 최종목적은 “개인의 성공과 가정의 행복과 기업의 발전과 민족의 영광과 인류의 평화창조이다.” 라며 삶의 8진법의 엄청난 파워를 강조했다.
세 번째는 ‘봉사' "나 하나 바로 세우기” 위해 봉사를 최우선으로 하고 창조경영자 양성 봉사활동을 희망하는 지도자를 대상으로 팀을 조직하여 봉사활동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팀별 봉사활동을 통해 지도자 스스로 내가 사는 이웃을 돌아보고 차세대지도자를 양성할 수 있는 인성을 함양시키고, 자발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고의 덕목이라고 했다. 조 원장은 “갈등과 다툼은 뒤로하고 발전과 도약의 시대가 왔다. 개인적으로는 인격을 중시하고 말을 하기 전에 가슴으로 숙성시켜서 좀 더 조심해서 표현해야 할 때”라며 “강한 자에게는 호랑이처럼 대하고 약한 자에게는 비둘기처럼 대하라! 항상 건설적 비판을 아끼지 말고 남의 약점을 들추기 보다는 옳은 일만 하고 남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네 번째는 ‘사회’ 그는 “폐쇄사회가 아니고 개방사회로 가는 21세기 지구촌에서는 평준화 보다는 우수한 사람을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하향평준화는 곧 평균 이하의 인간을 양성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투자를 늘려야 하고, 기술과 인력을 계발하는 기초 중심의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성장 없는 분배가 있을 수 없고, 합리적인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성장 또한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한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언론인 법률가 대학교수들이 잘해야 한다. 그들이 제 위치를 당당하게 지킨다는 것은 지성과 덕성과 감성을 잘 발휘하는 것이다. 즉 지성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를 잘 발전시키기 위해서 건설적으로 비판하는 것이고, 덕성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에게는 엄격하고 남에게는 관대한 것이고, 감성이라고 하는 것은 자극에 대하여 느낌이 일어나는 능력. 아름다운 것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어려운 사람을 보고 측은해 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진정한 덕목임을 강조”했다.
다섯 번째 ‘신체'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라는 속담을 인용하며 건강하고 활력이 넘쳐야 점점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라고 말했다.
여섯 번째는 ‘여가' 예를 들면 여가(餘暇)란 겨를. 틈. 여가를 선용하자 / 퇴근하고 나서 여가를 즐기다. 집에서 가족이 여가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 일정한 기간 쉬는 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레크리에이션(Recreation) 즉, 운동이나 오락 등을 하여 심신(心身)의 피로를 푸는 일. 또는 그 운동이나 오락이 필요하다.” 조 억제 한국자기계발연구원 원장은 여가에도 단계가 있다고 말했다. 레 - 레저를 멋지고 건강하게 즐긴다. 크 - 크나큰 여유와 행복을 느끼며 … 자기선언 시각화로 리 - 리듬에 맞추어 … 새날을 맞이하고 에 - 에브리 바디! 삶의 8진법으로 아름답게 살아야 한다. 이 - 이마를 맞대고 춤도 추고 노래를 한다. 션 - 션(시원)한 자연 속에서 … 내면 안에서 흐르는 힘의 원천 2단계는 여가를 보내는 척하지만 실제로 쉬지 않는 ‘시간 보내기’, 3단계는 주로 일방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인 ‘강의 시간에 잠자기' 등 이다. 조 원장은 4단계인 여가활용 방법에 대해 “여가를 즐길 때 감성(오감)활용, 지성(생각, 느낌)표현, 깊이 긴장을 푸는 것, 나의 삶의 중심에 무엇이 놓여 있는가? 자기 의견을 덧붙이지 않고 마음속의 순수한 어린이 같은 생각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일곱 번째 ‘정신' 윤리적 삶, 정신계발, 마음의 평안 - 정신적 목표, ‘스스로 깨끗해지려고 하는 구체적인 삶의 변화를 원하는가?’ 정신적 자기계발을 하려면 어떻게 사는 것이 참다운 삶인가? 를 상대방과 같은 색안경을 쓸 줄 알아야 한다. 고 덧붙였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 자연의 이치를 깨달아 삶의 8진법의 가치를 배우며 사는 삶, 진리의 세계는 말로 설명할 수 없고 다른 표현으로도 보일 수 없다.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경계여서 알릴 수 없고, 알 수 없는 것이므로 이론으로 규명할 방법이 없고 또 마음의 사고활동을 통해서 알아지는 표상의 세계도 아니다.
“내가 원하는 세상, 내가 바라는 것은 성공과 행복실현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고 세상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 것은 결국 마음을 안정시키고 삶의 8진법으로 조화를 이루고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는 길 뿐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그런 세상을 꿈꾸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거룩한 삶의 8가지 원칙 책을 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CEO의 경우는 기업의 비전과 가치를 전파하는 사람으로 그 자체가 브랜드가 되기 때문에 정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고 말했다.
여덟 번째 ‘지성’ 자아발견, 지성적 경험을 공유하고 그 폭을 넓혀가는 것이며 거룩한 삶을 위하여 진리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말하는 것”이라고 인생성공과 행복의 열쇠 삶의 8진법을 공개했다. 자기노출도 필요한 요소다. 자신에 대한 정보를 단계적으로 노출하고 상대에게 받은 피드백을 통합시키면 효과적으로 삶을 개선할 수 있다. “이제는 내 멋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거룩한 삶이 내 안에 함께하는 것이다.” 나는 늘 행복한 삶을 위해 무엇을 했는가? 나는 늘 행복한 삶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나는 늘 행복한 삶을 위해 무엇 하기를 원하는가? |
출처 : 조억제 한국자기계발연구원 원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xml - tomcat (0) | 2011.04.09 |
---|---|
Architexa (0) | 2011.04.08 |
연구와 회사일의 차이 (0) | 2011.04.04 |
JavaMail 1.4.4 + SpringSource Mail Sender (0) | 2011.04.01 |
mobile jquery (0) | 201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