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제목을 입력해 주세요.

반응형

  

착한 사람은 악한 사람을 살찌운다.책에서봤어요 2011.03.18 10:27:30
조회수  776 찬성수  7    반대수  2
'이기적인 유전자' 책에서 본 내용입니다.
시뮬레이션으로 다음 3가지 유전자를 섞어놓고, 생존경쟁을 시켜 보았답니다.
A:항상,남에게 손해를 끼치더라도 나혼자 많은 이득을 챙기는 선택을 하는 유전자
B:항상,남과 내가 이득을 공유하는 선택을 하는 유전자.
     A타잎을 상대로 만나면 자기가 손해를 보는데,
     그 다음에 같은 상대를 만나도 또 같은 선택을 하여, 손해보기를 반복합니다.
C:처음 만나는 상대와는 이득을 공유하는 선택을 합니다.
  그런데 만약 상대가 A타잎이란 것을 알게 되면 그 상대에게는 자신도 A타잎처럼 행동합니다.
  B타잎이나 C타잎과 만나면 이득을 공유하는 선택을 합니다.

시뮬레이션 할 때 여러가지 가정이 포함되긴 합니다만, 이 세상의 모습과 별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여러분은 어떤 타잎이 득세를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나요?

위 타잎들을 쉽게 표현하자면 A는 사기꾼, B는 바보같이 착한 사람, C는 정의파 정도로 표현하고 싶습니다. ( B와 C가 득세를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저의 바램 때문이기도 합니다. ^^; )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A가 득세를 하면서 B와 C가 점점 쪼그라듭니다.
A가 B를 착취해 가면서 세력을 키우는 것이죠.
그러다 B가 거의 전멸하고 나면, C 전략이 빛을 발휘하여 C가 점점 커지고 A가 쪼그라듭니다.

여러가지 교훈을 생각할 수 있는데요, 다함께 이득을 공유하는 세상을 만들려면
C전략이 가장 유리하다는 교훈과 함께,
B의 행동은 오히려 방해가 된다는 것이죠. 왜냐하면 B가 착취를 당하면서 A를 살찌우기 때문입니다.

덧글목록 (26)
불곰와닿는군요.. 착하면 손해라는 말인듯.. 2011.03.18 10:31:05  
ლ('◡'ლ)착하면 민폐라는 말인듯.. 2011.03.18 10:32:43  
가보는거야B가 전멸하면 C의 어떤 전략이 빛을 발휘해서 C가 더 커지나요?
A를 만나도 A타입처럼 행동하면 누가 이기는건 5:5아닌가요? 2011.03.18 10:34:25
 
마비인ㄴ C와 A 가 만나거나 A와 A가 만나면 득될일이 없지만(제로섬), C와 C가 만나면 이득이 커지기 때문일 겁니다. 자세한 세팅은 설명이 안되어있지만... 2011.03.18 10:36:25  
물통아.. 간만에 흥미로운 책 발견.. 소개 감사요 ^^ 2011.03.18 10:42:21  
오오옷제가 B이라도 A가 이기적인 줄 알면 상종을 안할 것 같은데요. B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착한 사람인가요? 2011.03.18 10:43:09  
로봣@오오옷 그렇게 행동하는 순간 B는 더이상 B가 아니고 C죠... 2011.03.18 10:46:22  
SCV그 책을 읽어보고 싶어서 yes24에서 검색해보니...
비슷한 제목이 여러권 나옵니다. 어떤 걸 선택해야 하는지요? 2011.03.18 10:51:41
 
오오옷@로봣 A처럼 행동하는 것과 A를 처음부터 차단하는 것은 다른 것 같아요. 2011.03.18 10:52:40  
제타시뮬 내용은 게임이론에서 나온 것 같네요. tit for tat 전략이 시뮬 게임에서 많이 우승했다고 하죠.
http://blog.naver.com/spb00000/20122587560 2011.03.18 10:54:38
 
수타벅스저는 C 스타일인데 지금까지의 체감 결과, 현대 사회는 C타입에게 별로 유리하지 않습니다.

A가 득세를 하고 B와 C가 점점 쪼그라드는데 까지는 맞습니다.
그런데 B가 전멸하는 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남아있는 B는 A로 변하고 젊고 새로운 B가 생태계에 공급됩니다.
C는 항상 제자리고요.
결국 A가 끝까지 득세를 하게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잘못하는 사람은 바로 B입니다.
B가 A를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인정하거든요. C는 항상 소수로 살게 됩니다.
B가 이런 사회를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이죠. 2011.03.18 10:56:28
 
SilVousPlaitSCV / 리처드 도킨스가 쓴건데 보고 평점 좋은걸로 사시면될듯해요 2011.03.18 10:57:41  
하루살이ㅎㅎ 그 시뮬레이션의 조건이 궁금하네요. 어느 정도의 환경변수와 고정상수를 설정하였을지가.2011.03.18 11:03:26  
SCVSilVousPlait / yes24 카트에 넣어 뒀습니다. 감사 ~ 2011.03.18 11:04:04  
맨발의코봉이이기적인 유전자 신판은 번역이 좀 개선되었는지요?
이기적유전자까진 그래도 읽을 수 있는 문장인데 확장된 표현형은 읽다가 도저히 한글문장이 이해가 안되어서 접었거든요. (비문이 너무 많아서 머리가 아픔. 차라리 나중에 원서로 볼까 생각중...)2011.03.18 11:06:10
 
이러언저도 C의 유형인데요. 스스로 일관성이 없는듯 하여 항상 죄책감을 느낍니다. 가끔 기회주의자같이 느껴지기도 하구요. 상대방이 누구냐와 관계없이 계속해서 공유하면서도 힘을 잃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정의파라고 부를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 2011.03.18 11:16:48  
마비인@수타벅스 요즘 같아서는 B가 정말 A 보다 더 밉더라구요. 착하게 살려면 공부도 많이해야하고 생각도 많이해야하고 정말 노력 많이 해야 하는데, 아무것도 안하고 좋은게 좋은 거지 하는 것을 착한 거라고 착각하는 부류가 참 그래요. 2011.03.18 11:18:57  
수타벅스@마비인 긍정에 동감에 공감입니다. 2011.03.18 11:38:17  
이건아니야저도 읽었지만, 논쟁의 부분이 많은 모델입니다. 
1. 전형적인 ABC인 유전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인플루엔자가 세상을 지배해야 합니다.
2. 시뮬레이션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룰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3. 유전자로 모든 인간의 행위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뭐 반박이 장난아니게 많은 모델인데, 저 책의 유명세로 (책 자체도 반박은 인터넷 쪼금만 보셔도 많이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런 의견도 있구나 참고하시면 좋을듯. 2011.03.18 11:51:53
 
benelog'협력의 진화'라는 책도 추천합니다. http://www.yes24.com/24/goods/3546521?scode=032&OzSrank=1 시뮬레이션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011.03.18 12:03:42  
테라만세~..좋은게 좋은거지가 B에 속하느냐 마느냐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A도 나쁘지만 "좋은게 좋은거지"는 가끔 더 나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2011.03.18 12:03:54  
책에서봤어요물론 실제 세상은 훨씬 복잡합니다만, 단순화된 기본 모델로서 괜찮고 '바보같이 착하면 민폐인 이유'의 설득력이 높아서 글을 썼습니다.
이건아니야님 / 반박 중에서 괜찮은 것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이기적유전자 비판을 가끔 찾아보았는데 대부분 '이기적유전자'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것이 너무 많아서.. 제대로 된 반박 찾기가 어려워요 ; 2011.03.18 12:07:09
 
메일쫌요Selfish Gene 좋은 책입니다 ^^ 근데 좀 어렵더라고요
오해를 쉽게 살수 있는 내용입니다 2011.03.18 13:24:58
 
일본힘내도킨스는 전형적인 포퓰리즘 작가 2011.03.18 14:01:00  
뭐..네~일아트~도킨스는 전형적인 포퓰리즘 작가 (2) 2011.03.18 14:17:30  
책에서봤어요제대로 된 반박 부탁드립니다. 2011.03.18 14:31:11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 경쟁력 메트릭스  (0) 2011.03.20
Web Programming Errors  (0) 2011.03.20
이상적인 리더의 동기 부여 법칙  (0) 2011.03.18
지역  (0) 2011.03.17
[SERI 보고자료] 정보홍수 속의 빅 데이터 찾기  (0) 2011.03.17